코로나19의 종착역에서 돌이켜보는 감염병 사회 속 장애인 > 기획 연재


기획 연재

코로나19의 종착역에서 돌이켜보는 감염병 사회 속 장애인

감염병_현황

본문

 
코로나19는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바이러스의 출현과 유례없는 빠른 전파속도로 온 국민을 공포와 두려움에 떨게 했다. 국내에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보고되었던 2020년 1월 이후 3년만인 2023년 봄, 우리는 드디어 마스크를 벗고 이전처럼 사람과 사람이 만나 자연스럽게 마주하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일상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만 4년이란 기간 동안 핸드폰과 TV 방송을 통해 일일 감염자와 사망자 수가 매일같이 공개되었다. 하루에도 수십 통의 재난문자를 통해 공개된 확진자의 동선을 확인하며 점점 가까워져 오는 바이러스에 두려움을 느꼈던 시기를 시작으로 마스크 없이는 외출이 불가능하고 학교 수업과 모든 회의들이 다 비대면으로 전환되는 등 우리 삶에 너무나도 많은 변화가 찾아왔다.
 
정부는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펼쳤고 가장 심할 때는 ‘2인 이상 집합금지’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특히 정부는 장애인 거주시설과 요양병원 등을 ‘고위험군 집단’으로 분류하여 ‘코호트격리’, ‘외출·외박 제한’ 등 외부사회와 단절시키는 지침을 내리기도 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사망한 장애인 4,475명, 전체 사망자의 31.3%
 
2022년 5월 2일 기준 국내 코로나19에 감염된 비장애인의 수는 약 782만명이고 장애인 확진자의 수는 약 30만명으로 비장애인의 3.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자 14,299명 중 장애인은 4,475명으로 31.3%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로 인한 장애인 확진자 및 사망자 수
 
 
 
2022. 5. 2. 기준 (단위, 명)
구분
확진자
사망자
전체 장애인 수
발생률
장애
유형
지체
121,429
120,086
 1,343
1,207,368
9.9
뇌병변
36,267
35,121
1,146 
250,407
14.0
뇌전증
811
809
2
7,093
 11.4
시각
26,714
26,380
 334
252,324
10.5
청각
41,562
40,764 
 798
395,789
10.3
언어
3,626
3,590
36 
22,391
16.0
지적
34,951
34,863
 88
217,108
16.1
자폐성
7,185
7,184 
 1
30,802
23.3
정신
15,017
14,905
 112
103,525
14.4
신장
13,413
12,912
 501
97,530
13.2
심장
794
781
 13
5,233
14.9
호흡기
1,116
1,082
 34
11,544
9.4
1,885
1,865
 20
13,808
13.5
안면
288
284
 4
2,677
10.6
장루요루
1,534
1,491
 43
15,427
9.7
총계
306,592
 302,117
 4,475
2,633,026
11.5
비장애인
7,828,196
7,818,372
9,824
49,195,997
 15.9
 
 
전체 장애 유형 중 지체장애인이 39.6%로 확진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청각장애(13.5%), 뇌병변장애(11.8%), 지적장애(11.3%)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치명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장애 유형은 신장장애(3.88%)이며 그다음으로 뇌병변장애(3.26%), 호흡기장애(3.14%), 장루요루장애(2.88%) 순으로 집계된다.
 
최혜영 의원실에서 따르면 2020년 10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전체 장애인거주시설 618개소 중 68%를 차지하는 419개소의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장애인, 비장애인보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걱정 비율이 2.2배 높아 2021년 6월 국립재활원에서 발표한 ‘장애인의 코로나19 경험과 문제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건강문제가 발생하거나 악화된 비율,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걱정, 수면시간 감소, 외로움과 불안의 비율이 비장애인에 비해 장애인이 모두 다 높게 나타났다.
 
또 전체 장애인 중 32%가 돌봄서비스를 받은 적이 있는데 서비스를 받는 장애인 중 18.2%가 코로나19로 인해 돌봄서비스가 중단된 경험이 있고, 중단 시 어려웠던 점으로 ‘가족의 돌봄 부담이 늘어남(58.7%)’, ‘외출이 어려움(36.4%)’, ‘식사 준비 어려움(25.9%) 등이 있었다.
 
실제로 코로나19 기간 동안 장애인 관련 시설은 정부로부터 코호트격리, 복지관 이용서비스 잠정 중단, 보호작업장 폐쇄 등의 조치가 내려짐에 따라 장애당사자와 가족 그리고 시설 종사자들은 매우 큰 어려움에 봉착한 바 있다. 
 
작성자김영연 기자  cowalk1004@daum.net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함께걸음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5364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치훈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