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여성에 발가락 똥침한 사회복지사에 항소심서 유죄 선고 > 기획 연재


기획 연재

장애여성에 발가락 똥침한 사회복지사에 항소심서 유죄 선고

본문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센터장 김정열, 이하 ‘인권센터’)에 따르면 수원지방법원(제4형사부, 재판장 심재남)이 장애인복지시설 생활지도사 A씨가 거주인인 뇌병변 장애여성의 항문을 발가락으로 찔러 학대를 가한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유죄판결을 선고했다고 전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3차례에 걸쳐 발가락으로 피해자의 엉덩이와 항문 부위를 찌른 행위는 생활지도사인 피고인의 보호를 받는 중증 장애인인 피해자의 의사에 반하여 그 신체에 직접 유형력을 행사하여 육체적 고통을 주고, 모욕감 등 정신적 고통을 주었다고 보이므로, 모두 형법 제273조 제1항의 학대에 해당한다”고 하면서, 피고인 A를 벌금 100만원에 처하는 유죄 판결을 선고했다.

A씨는 2010년 여름과 2013년 여름, 겨울 누워있는 피해자의 항문 부위를 발가락으로 수회 찔렀는데, A씨의 행위는 2014년 인권지킴이단 회의에서 처음 알려졌다. 이후 2014. 10. 22. 피해자는 경찰에 A씨를 성폭행으로 고소했으나, 시설 측의 강요에 의해 처벌을 원치 않는다는 내용의 소청서를 작성하여 검찰에 제출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검사는 A씨의 행위를 성폭행이 아닌 학대로 보고, 공소장 변경 후 A씨를 기소했는데, 원심은 “피고인이 한 행위는 피해자에게 성적수치심을 일으킬 수 있는 행위로서 비난받아 마땅한 행위이기는 하나, 이 행위가 피해자의 인격에 대한 반인륜적 침해를 넘어 유기에 준할 정도에 이르렀다고 보기에는 부족하고, 공소장을 변경하지 않은 이상 폭행죄로 볼 수 없다”고 하여 무죄를 선고했다.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는 피해자가 경찰조사를 받는 동안 신뢰관계인으로 동석을 했으며 이후 경찰 조사를 돕는 한편, 제1심 판결 선고 후 법원이 장애인과 장애인거주시설의 특성, 시설 거주인의 권리, 거주인과 종사자의 관계, 종사자의 의무 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다고 판단해, 검찰에 위 내용과 함께 ‘학대’의 개념을 재 정의해 항소를 해야 한다는 의견서를 전달했다.

인권센터는 이후, 피해자의 의사가 재판결과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인권센터 직원이 참고인으로 재판에 출석하는 등 수사기관에서 항소심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지원했다.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의 관계자는 이번 판결을 통해“처음부터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동일한 인격을 가진 존재로 생각했더라면 장난으로 수차례 ‘똥침’을 하는 행위는 없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판결은 거주시설에서 종사자가 갖춰야할 인권감수성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라고 하며 재판부의 판단을 지지했다.

또한, “이 사건이 처음 인권지킴이단 회의에 안건으로 올라왔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점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다. 장애인 거주시설 내 인권침해를 예방하고 사후 조치를 위해 운영되고 있는 인권지킴이단이 얼마나 실효성 있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 이번 기회를 통해 고민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에서 가장 중요했던 쟁점중의 하나는 피해자가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인권지킴이단원이기 때문에 자신에게 불합리한 대우에 대해 얼마든지 표현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이였다. 그러나 스스로 식사, 대소변, 목욕 등 생활 전반에서 장시간 지원을 받는 장애인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거부를 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현재 A씨는 시설에서 퇴소해 자립 홈에 거주하고 있으며 인권센터 관계자와 면담과정에서 “시설에서 나오니까 행복해요. 우선 내 방이 있어서 좋고, 먹고 싶은 것도 마음대로 먹을 수 있고, TV도 마음대로 볼 수 있어서 좋아요. 시설에 있을 때는 다 같이 자야 되고 다 같이 먹어야하고 군대와 똑같았거든요.”라고 전했다.

비장애인이면 누구나 누리는 평범한 일상을 A씨는 23년 만에 갖게 된 것이다. 누가 A씨로부터 평범한 일상을 빼앗아 간 것일까? 중증장애인은 자립이 어렵고 지역사회에서 살 수 없다는 우리들의 편견이, 암묵적으로 이루어진 사회적인 합의가 A씨의 평범한 일상을 빼앗은 것은 아닐까?

인권센터는 "더 이상 A씨와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권리구제활동에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기사출처;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

작성자김은정 기자  cowalk1004@daum.net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엘리누스님의 댓글

엘리누스 작성일

비장애인들 하는 짓거리 볼 때마다 참으로 밉상이네요... 비장애인들이 예전엔 메르스도 퍼뜨리더만 ㅉㅉ

비장충 ㅗㅗ님의 댓글

비장충 ㅗㅗ 작성일

여튼 비장충들은 역시 노답 ㅉㅉ

아마란스님의 댓글

아마란스 작성일

천연또~ 천연또~ 신나는노래~ 나도한번 불러본다~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함께걸음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5364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치훈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