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굿 닥터’ 속의 서번트 > 대학생 기자단


드라마 ‘굿 닥터’ 속의 서번트

[이미정의 발달장애와 함께 하는 세상]발달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 유도 … ‘자폐성장애= 모두 천재’ 라는 오해 소지 있어

본문

   
▲ ⓒKBS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드라마 중의 하나가 KBS 드라마 ‘굿 닥터’이다. 지난해 각시탈로 화제를 모았던 배우 주원 씨가 ‘박시온’이라는 이름으로 자폐성 장애의 하나로 분류되는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을 연기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TV를 통해 휠체어에 탄 지체장애인이나 앞으로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 듣지 못하는 청각장애, 신체상에는 문제가 없는 지적장애 등을 보아왔던 시청자에게 자폐증, 그중에서도 서번트 증후군이라는 색다른 소재는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특히, 장애인이라면 능력이 부족하고 불쌍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도와주어야 한다고 생각해온 시청자에게 특정 분야에 천재성을 보이는 장애가 있다는 사실은 충분히 호기심을 불러일으킬 만하다.

일반 시청자와는 달리 장애에 대해 공부한 전공자의 입장에서는 주원 씨가 서번트 증후군을 얼마나 잘 연기하는지, 드라마의 기획의도가 무엇인지에 더 관심을 갖게 된다. 혹여 드라마를 통해 자폐성 장애를 불쌍하게 그려내는 것은 아닌지 또는 자폐성 장애를 상품화하려는 의도는 아닌지 분석하게 된다.

TV는 다른 어느 매체보다도 사회적 여파와 파장이 크고, 드라마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소재를 다루고 있어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장애에 대해 공부한 전공자들은 장애를 소재로 한 드라마를 마냥 즐겁고 재미나게 볼 수만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굿 닥터의 기획의도는 신선함과 동시에 전공자들의 공감을 사기 충분하다. 자폐도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훈련과 교육을 통해 혼자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이 가능한 사람들로 비장애인과 똑 같은 감정과 꿈을 가진 존재라는 사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사회적 공감과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드라마를 통해 보여주겠다는 기획의도를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장애 중에서 자폐증 만큼 일반인들의 편견과 잘못된 상식을 많이 가진 것은 없다. 하지만 자폐는 너무나 다양한 증상과 패턴이 존재하며 케이스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치료가 가능한 장애다. 치료 후 사회 구성원으로서 활동이 가능하다. 장애에 대한 편견과 잘못된 지식은 이들을 장애인으로 낙인찍는 요인이다. 굿 닥터는 장애인을 또한 정상인들과 똑 같은 감정과 꿈을 가진 존재이며 도리어 우리에게 울림을 줄 수 있는 아름다운 존재임을 보여주려 한다.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동정과 연민이 아닌 동질감과 공감이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인정임을 말하려 한다.」
 <굿 닥터 홈페이지 http://www.kbs.co.kr/drama/gooddoctor/ 중에서>

자폐를 다름이 아닌 동질감과 공감의 존재로 인식하려는 기획의도와 자폐성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많이 접해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동작과 행동패턴을 연기하는 주원 씨의 연기력은 과히 칭찬해 줄 만하다. 이러한 기획자와 연기자들의 노력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자폐에 관심을 갖게 해주고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굿 닥터는 어느 정도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굿 닥터에 대한 애정만큼 우려도 지울 수 없다. 굿 닥터를 통해 시청자들이 자칫 자폐성 장애를 모두 천재적 재능을 보이는 서번트 증후군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는 점이다. 서번트 증후군이 자폐성 장애의 하나로 분류되지만 자폐성 장애가 모두 서번트 증후군이 아니기 때문이다. 천재적 재능을 보이는 서번트 증후군을 갖고 있는 사람은 세계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적고 이를 발견하는 것 또한 쉬운 일이 아니다.

또, 자폐성 장애인을 모두 서번트 증후군으로 오해할 경우 천재적 재능이 없는 일반 자폐성 장애인들의 좌절감과 상실감이 커 질 수 있고, 자폐성 장애를 가진 부모들이 혹시나 하는 기대감에 장애인 자녀의 천재적 재능을 발굴하기 위해 사교육과 치료에 더 많은 시간과 돈을 낭비할까 걱정스럽기도 하다.

비장애인 중에서도 천재는 손에 꼽을 정도로 적고 모두 노력한다고 천재가 될 수 없는 것처럼 서번트 증후군도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자폐성 장애 중에서 서번트 증후군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고, 모든 자폐성 장애인이 노력한다고 서번트 증후군처럼 천재성을 보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 드라마를 시청해야 할 필요가 있다. 
 

 

 


 

작성자이미정(한신대 외래 강사, 일본 쓰쿠바대학 심신장애&  dung727@naver.com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함께걸음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5364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치훈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