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장애우 일상다반사(17) > 대학생 기자단


중증장애우 일상다반사(17)

휠체어와 유모차

본문

외출을 하려면 전동휠체어를 이용해야 한다.
그런 내가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은 두 가지 뿐이다.
바로 지하철과 장애인콜택시다.
콜택시가 비용이 저렴한 편이라지만, 수입이 얼마 안 되는 내겐 비가 오거나 눈이 와서 전동휠체어를 이용하기 곤란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이용할 수 없는 사치이다. 그래서 나에겐 지하철이 일상이다.

나는 현재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에서 직장체험을 하고 있다.

 

연구소가 있는 당산역까지 오려면 집에서 가까운 1호선 독산역을 출발해 2호선을 갈아타야 한다. 그런데 독산역과 환승을 해야 하는 신도림 역에는 엘리베이터가 없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리프트를 탄다.
‘어쩔 수 없이’라는 표현은 , 아마 전동휠체어를 이용해 본 지하철을 타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공감 할 것이다.
 ‘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요란한 배경음악이 울리면 자연히 집중되는 사람들의 시선… 속도라도 빠르다면 시선을 즐기련만, 나의 기대를 저버리고 리프트는 하염없이 느린 속도로 올라간다.
그러한 것들이 너무 싫은 난 요즘, 환승을 할 때 시설이 좋지 않은 신도림이 아닌 엘리베이터가 있는 시청역을 애용한다.
그렇지만 엘리베이터가 없는 신도림역 덕택에, 6개의 역만 지나치면 도착할 수 있는 거리를, 난 한강을 왕복해가며 18개의 역을 거쳐 ‘여행을 한다’라는 생각으로 출퇴근을 하고 있다.
이렇게 전동휠체어로 지하철을 타다 보면 별의별 사람을 다 만나게 된다.
집까지 데려다 주겠다며 리프트가 내려오기를 기다리는 취객, 재미있겠다는 듯이 호기심어린 눈길로 계속 쳐다보는 아이들, 한번 타보고 싶다고 말하는 철없는 어른들, 어려운데 왜 나와 고생이냐며 혀를 차는 어르신들… 정말 가지가지다.
평소에 리프트 때문에 난 지하철에서 일하는 공익근무 요원과 인사도 잘 하고 이야기도 많이 하게 된다. 어느 날인가 늦은 시간에 2호선에서 환승을 하려고 1호선 시청역에 내렸는데, 어떤 취객 한 명이 자기 아버지도 장애를 가지고 있다며 반갑다고 동생처럼 느껴진다면서 2호선 엘리베이터부터 긴 지하도를 지나 1호선 승강장까지 쫓아오는 것이다. 난 당황하여 휠체어의 속도를 높여서 자리를 피하려했지만 나로서는 역부족이었다.
그렇게 어쩔 줄 모르고 있었는데, 한 공익근무요원이 와서 지하철까지 태워다 줄 테니 걱정 말라며 취객을 떼어 준 일도 일었다. 정신을 차리고 그 사람의 얼굴을 보니 광화문으로 다닐 때 잠긴 리프트를 자주 열어주던 공익요원이었다.
그 때는 ‘내가 그렇게 싫어하는 리프트가 이렇게 소중한 인연도 만들어 주는 구나’라는 생각이 들며 내 입가엔 웃음이 지어 졌다.

얼마 전, 연구소에 오려고 평소와 마찬가지로 지하철역의 리프트를 탔을 때의 경험이다.
한 서너살 쯤 되었을까. 한 꼬마가 엄마에게 묻는 소리가 들렸다.
“엄마 저 언니 어디 아파? 왜 저거 타는 거야? ”
난  내심 ‘저 아이의 궁금함이 나에겐 또 상처로 남겠구나.’싶었다.
보통 아이들이 그런 질문을 하면 부모들은 대부분 “너도 엄마 말 안 들으면 벌 받아서 저렇게 돼. 알았어?”라고 쏘아붙이거나 대답할 필요조차 없다는 듯 아이의 손목을 휙 낚아채 내게서 멀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평소와 마찬가지로 못들은 척 지나치려 했다. 그런데 순간 나는 귀를 의심했다. 나의 이런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간 것이다.
그 꼬마의 엄마는 아이에게 이렇게 대답했다.
“ㅇㅇ도 유모차를 타면 계단을 올라 갈 수가 없잖아? 그래서 엄마가 유모차 번쩍 들고 가지?  ㅇㅇ가 아플 때만 유모차 타는 것은 아니잖아. 그러니까 저 언니도 아픈 것이 아니라 바퀴달린 의자를 탔기 때문에 계단을 올라 갈 수 없어서 저걸 타는 거야.”
물론 그 꼬마의 엄마가 아이에게 정확한 설명을 해 준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언젠가는 그 아이는 유모차를 벗어나 혼자 걷겠지만, 장애 때문에 전동휠체어를 타는 나는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이가 이해할 수 있도록 눈높이를 맞추어 아이의 세계 안에서 설명한 그 아이의 엄마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적어도 사람들이 리프트가 재미있다고 말하지도, 재미있어 보인다고 말하지도 않을 것이며, 혀를 차는 사람도 생기지 않았을 텐데…
모녀의 모습을 바라보는 내 마음이 찡해져왔다.

글 김주영


 

작성자김주영  webmaster@cowalknews.co.kr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함께걸음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5364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치훈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