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맹수의 재산 불리기] 마지막회 - 노후생활 안정대책 > 대학생 기자단


[양맹수의 재산 불리기] 마지막회 - 노후생활 안정대책

본문

◆ 노후생활 준비는 빠를수록 좋다

우리 사회의 급속한 산업화와 그에 따른 핵가족화로 자신들의 노후는 스스로 준비해야 하는 시대다. 아직은 부모를 모시고 살아가는 가정이 많지만 갈수록 신세대 자녀들의 부모 부양의식 약화와 여성들의 사회진출로 인한 노부모 봉양이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면 젊은 사람일수록 더욱 자신의 노후를 철저히 준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결혼을 하고 내집마련과 자녀들의 뒷바라지를 하며 정신없이 지내다 보면 자신들의 노후준비에 자칫 소홀할 수 있다. 그러다 보면 퇴직은 가까워지고 퇴직후에는 다른 일을 찾기란 쉽지 않다. 퇴직 후에 아직도 정력적으로 뛸 수 있는 나이지만 사회에서 받아 주지를 않는다. 재취업을 하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힘들고, 창업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사업이란 특정분야에만 익숙해 있는 사람에게 그렇게 만만치 않다.
퇴직 후엔 소득이 없어도 지출은 예전에 비해 크게 줄지 않는다. 가계의 주요한 지출요인은 생활비로 사람이 먹고 살아가는데 필요한 생활비를 줄이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또한 이 때까지 자녀들을 결혼시키기가 쉽지 않아 결혼비용도 준비해 둬야 하고, 늦은 사람들은 자녀들의 교육비까지 부담해야 한다.
국민연금과 퇴직금이 있지만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생활 대비가 부족하고, 퇴직금은 자녀들 결혼비용이나 교육비 등을 충당하고 나면 여유가 많지 않고 일용근로자나 자영업자들은 퇴직금도 없으므로 더욱 더 노후준비가 필요하다.
자식들이 마땅히 부모를 모시지 않겠나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자식이 부모를 모시고 사는 미풍양속은 급격히 사라지고 있어 이제는 이런 것을 기대할 수 없다. 산다고 하더라도 “노후에는 돈이 있어야 자식들에게 대우를 받는다”라는 말처럼 편안한 노후를 보내기 위해서는 자식들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살아갈 수 있을 정도의 자금을 마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후자금 준비는 빠를 수록 좋지만 내집마련이 필요하다면 내집마련을 이룬 다음 바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내집마련시에는 많은 돈이 필요하여 가진 돈을 모두 끌어 모으고 이것도 부족하여 대출까지 받아야 하기 때문에 미리부터 개인연금신탁 등 노후대비 장기저축에 가입하고 있더라도 구입자금이 부족하면 중간에 해지할 수도 있어 불이익을 볼 수 있다.
특히 내집마련이나 다른 재테크 활동으로 이룬 재산은 모두 노후생활에 활용할 수 있어 모든 재테크활동은 일종의 노후생활 안정대책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우선은 내집마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노후자금 중요성에 대해서 다소 자세히 언급했지만 조금이라도 일찍 노후생활에 관심을 갖고 준비해 간다면 가계에 큰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준비해 갈 수 있다. 이렇게 착실히 준비해 두면 사회가 아무리 급박하게 돌아가더라도 신경 쓸 필요가 없고 돈 때문에 자녀들의 눈치를 볼 필요도 없이 편안한 노후생활을 보낼 수 있다. 특히 지금은 노인들을 위한 실버산업이 발달되어 돈만 있으면 여생을 편안히 보낼 수 있다.

 

◆ 노후자금은 얼마 정도를 마련해야 하는가?

노후자금은 크게 생활비와 자녀들의 결혼자금, 교육비를 생각할 수 있다. 노후에 지출되는 돈은 우선 생활비가 가장 많이 들어간다.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먹고 살아가는데 들어가는 생활비는 퇴직 후에도 크게 줄어들지는 않기 때문에 현재 지출액의 80%정도는 들어간다고 보아야 한다.
생활비 계산방식은 현재의 월 지출액을 지금부터 정년퇴직을 할 때까지 기간동안의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즉 n년후의 돈가치 = 현재 돈가치 × (1+물가인상률)ⁿ의 식으로 계산한다. 최근 통계청이 도시가구를 월 가계지출액이 월 평균 1백 50만원을 쓰는 것으로 나타나 편의상 이 금액을 기준으로 40세인 사람이 만 55세에 정년 퇴직한다고 가정하고 얼마정도를 마련해야 하는가 계산해 보면 1백 50만원을 연 3%의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15년 후 금액은 2백 34만원(= 150만원 × (1+0.03)ⁿ)이다. 여기서 은퇴 후에는 현재 생활비의 80%가 필요하다고 본다면 매월 1백 87만원이 필요하다.
※ 연령에 따라 본 공식대로 계산하고, 보다 여유있는 생활을 하고자 한다면 1백 50만원 대신 현재 자신의 기본적인 월평균 지출액을 따져 계산해보면 된다.
또한 생활비 외에 자녀들의 결혼비용과 학자금도 준비해야 하지만 퇴직금과 국민연금은 자동적으로 받을 수 있으므로 퇴직금에서 결혼비용, 학자금을 뺀 나머지 금액의 이자와 국민연금 등으로 생활할 수 있어야 한다.
국민연금은 가입기간과 월 불입액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자신의 월소득의 30∼40%정도를 받을 수 있다. 국민연금이 88년에 시작되었으므로 현재 40세인 사람이라면 처음부터 가입했다고 보고 현 월소득이 2백 50만원인 직장인이 55세까지 직장생활을 한 다음 수령한다면 매월 70만원정도를 받을 수 있다. 1백 87만원에서 70만원 뺀다면 매월 1백 17만원이 필요하다. 매월 이자를 1백 17만원을 받기 위해서는 현재 이자율은 8%선이지만 장기적으로 선진국수준에 근접한다고 볼 때 5%정도로 가정하면 대략 2억 8천만원이 필요하다.
추가로 자녀의 결혼자금과 교육비로 3%의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대략 1억원 정도는 준비해야 하지만 퇴직금으로 1억5천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다고 하면 5천만원을 줄일 수 있어 총 2억3천만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15년 후에 2억 3천만원을 탈 수 있는 금액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개인연금신탁으로 가입하여 세금이 없다고 가정할 때 연평균 수익률을 10%라고 보면 매월 56만원을 내야하고 8%라면 67만원, 5%라면 86만원씩을 부어야 한다.

 

◆ 노후생활 안정자금 마련방법

우리가 보통 하고 있는 모든 재테크 활동도 일종의 노후생활 안정대책이라고 볼 수 있다.
주택을 마련하는 것이나 금융자산, 유가증권으로 운용하는 모든 재산은 노후생활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갈수록 나이가 들어가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노후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투자하는 것이 좋다.

 

▶ 재테크에 자신이 없으면 연금저축제도를 활용하라

정부에서는 개인들의 안정된 노후생활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개인연금저축제도를 마련하여 많은 혜택을 주고 있기 때문에 잘 활용하면 아주 효과적이다.
개인연금저축은 만 20세이상 개인이 은행, 투자신탁, 보험, 우체국 등에서 분기당 최저 3만원이상 3백만원 범위 내에서 적립횟수나 날짜에 관계없이 저축할 수 있고, 이 상품은 10년이상 연단위로 수익자연령이 만55세 이후가 되는 시점까지 저축하고, 적립기간 만료일로부터 5년 이상 분할해서 연금으로 수령하면 비과세혜택을 받을 수 있어 노후생활대비에 안성맞춤인 상품이다. 또한 이 상품은 이자에 대한 비과세 혜택 외에 매년 납입금액의 40%이내에서 최고 72만원까지 소득공제까지 받을 수 있다.
목돈을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노후생활연금신탁이나 연금보험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노후생활연금신탁이나 연금보험은 이자에 대한 세제혜택 등을 받을 수 있고 예금보호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품들은 각각 그 특징이 있으므로 자신에 맞는 저축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안전성과 유동성(환금성)에 중점을 둔 투자를 하라.

돈을 굴리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자는 높게 받을 수 있으나 원금을 떼일 염려가 큰 계나 사채, 개인끼리의 어음매입 등이 있는가 하면 주식투자나 투자신탁회사의 주식형 수익증권처럼 기대수익이 높은 대신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는 것도 있다.
젊은 층은 위험이 있는 재산에 투자하여 다소 손실을 보더라도 이를 만회할 기회가 있는 재산에 투자하여 다소 손실을 보더라도 이를 만회할 기회가 충분히 있지만 나이가 들어 갈수록 돈이 들어갈 곳은 많고 소득 자체는 증가하지 않으므로 원금을 떼인다든지 손해를 보게 되면 가계에 큰 부담을 주게 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재산구성 중 이와 같은 것이 있다면 점점 규모를 축소해 나가야 한다. 돈을 떼이고 난 후 후회해도 소용이 없으므로 사전에 주의를 기울여 나가는 수밖에 없다.
또한 나이가 들면 아무래도 몸이 약해지기 마련이다. 만일의 있을지 모를 사고나 질병에 대비하여 자산의 유동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금성이 떨어지는 부동산투자는 가급적 줄이고 현금화하기 쉬운 금융자산 비중을 높이는 자세가 요구된다.

 

글/ 양맹수

작성자양맹수  webmaster@cowalknews.co.kr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함께걸음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함께걸음 페이스북 바로가기

제호 : 디지털 함께걸음
주소 : 우)07236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22, 이룸센터 3층 303호
대표전화 : (02) 2675-5364  /  Fax : (02) 2675-8675
등록번호 : 서울아00388  /  등록(발행)일 : 2007년 6월 26일
발행 :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  발행인 : 김성재 
편집인 : 이미정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치훈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함께걸음'이 생산한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by
Copyright © 2021 함께걸음. All rights reserved. Supported by 푸른아이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