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메달 향한 승부사, 출격준비 완료”
본문
|
내리쬐는 햇볕 탓에 서있기조차 어려운 경기장 트랙을 무서운 속력으로 휠체어 전차단이 질주한다.
훈련을 마치고 시원하게 마실 물이 들어있어야 할 아이스박스는커녕 그늘막 하나 없다. 국가대표 대표팀이 훈련 받는 곳이라는 게 무색할 정도의 환경이었지만, 바람을 가르며 내달리는 선수단의 모습을 보니 가슴이 뛴다.
올림픽의 꽃이 마라톤이라면, 장애인올림픽의 꽃은 뭐니 뭐니 해도 박력 넘치는 휠체어 육상경기 아닐까.
휠체어 육상경기는 최소 2개의 큰 바퀴와 1개의 작은 바퀴로 구성된 휠체어를 타고 결승점 라인 가장자리의 수직선상에 휠체어 앞바퀴가 닿는 순간을 기준으로 순위가 매겨지는 레이스다.
선수 당 거리별 3종목까지 출전가능하며, 우리나라 대표팀은 200미터와 400미터에서 금, 은메달 각각 1개씩을 목표로 뛰고 있다.
▲ ⓒ전진호 기자 |
▲ ⓒ전진호 기자 |
이들이 타고 있는 휠체어는 일반 휠체어와는 모양부터 완전히 다르다.
탄소섬유로 만들어진 이 휠체어는 뒷바퀴 사이로 다리를 집어넣도록 디자인 돼 몸을 앞으로 최대한 숙여 탈 수 있게 제작돼 바람의 저항을 최대한 받지 않고 달릴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대당 700만원~1천만 원에 육박한다니 부담스러운 가격이지만, 개인이 알아서 구입해야 한다고. 비장애인 체육선수들이야 소속팀 등에서 지원받아 구입하지만 언감생심, 모든 것을 선수 스스로 알아서 준비하고 챙겨야 한다.
바퀴를 굴리는 폼도 예사롭지 않다.
성인 장딴지처럼 굵은 팔뚝을 움직이며 달리는 모습은 마치 수영선수의 접영을 연상시킬 만큼 아름답고 멋있다.
바닥에 붙다시피 달려야 하니 트랙에서 올라오는 지열이 만만치 않을 터, 온통 땀투성이에 붉게 달궈져 있지만 누구하나 불평 없이 날갯짓에 여념 없다.
▲ ⓒ전진호 기자 “속도가 이게 뭐야! 제대로 안 달릴래!”
불판처럼 달궈진 트랙을 수십 바퀴째 돌기를 어언 30분, 잠시 쉬었다가 해도 좋으련만 유희상 감독의 채찍질은 더 심해진다.
“어제 있었던 체력 테스트 때문에 오늘 훈련은 평소의 60% 수준밖에 안 된다.”며 초시계와 선수에게서 눈을 떼지 못하는 유 감독은 “지금 체력과 지구력을 다져놓지 않으면 월등한 체력의 다른 나라 선수를 도저히 따라 잡을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채찍질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전진호 기자 |
아마도 선수들의 애로점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국대(국가대표의 줄임말)’출신 감독의 지적이기 때문 아닐까 싶었다.
“선수들 보면 안쓰럽죠. 이들이 품고 있는 고민이 제가 선수시절 갖고 있던 그것과 별반 차이가 없어 더욱 속상해요. 사석에서는 다들 형, 동생 하는 사이들인데, 이들이 갖고 있는 고민을 해결해줄만한 뾰족한 수가 없으니... 오히려 ‘약한 소리 하지 말라’고 윽박지르곤 하는데...”라며 자리를 피하는 유 감독의 표정은 위엄 있는 호랑이 감독에서 자상한 이웃집 형의 모습으로 바뀌어 있었다.
▲ ⓒ전진호 기자 현재 한국 장애인 육상의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유 감독에 따르면 “100을 기준으로 봤을 때 45정도? 중하 정도의 수준이라고 보면 되요. 세계기록을 보유한 홍석만 선수도 대표팀에 있고 하니 어느 정도 수준이 될 거라 생각들 하시는데, 그렇지 않아요. 일본이나 유럽 등은 상위랭크의 선수들이 10여명 되는데, 우리나라는 홍석만 선수 한명 뿐이거든요. 이런 약점을 극복하려면 선수들이 안정적으로 운동만 할 수 있는 체계가 잡혀야 마련돼야 하고, 이리저리 옮겨 다니지 않고 한군데서 훈련받을 수 있는 시설이 시급하게 해결되어야 해요. 아직까지도 휠체어를 자전거 정도로 생각하고는 ‘트랙망가진다’고 운동장 사용을 꺼리는 곳이 많아요. 이런 상황에서도 지금의 성적을 내고 있는 건 전적으로 선수들의 희생에 대한 대가라고 봅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물론 예전보다 많이 나아진 건 사실이죠. 우선 대표팀 합숙훈련 기간도 길어졌고, 예비 선수도 대표팀 훈련을 같이 받을 수 있게 됐고... 그 덕에 대표팀 예비선수로 훈련받던 김대규 선수가 발군의 실력을 인정받아 이번 올림픽 대표선수로 뽑히게 된 거고. 차츰 나아지겠죠. 그런 기대마저 없으면 이 힘든 운동 어떻게 계속하겠어요.”라며 웃음 짓는다.
▲ ⓒ전진호 기자 으랏차차~
트랙에서는 바퀴 굴러가는 소리가 한창인데, 필드에서는 투척경기에 출전하는 박세호 선수의 기합소리가 경기장을 메아리친다.
투척경기는 고정된 좌석에 앉아 포환 등을 규정 경기라인 안으로 멀리 던지는 순으로 메달색깔을 결정한다.
곤봉과 포환던지기에 출전할 예정인 박세호 선수는 지난 1985년부터 운동을 시작해 1988년 서울장애인올림픽에서는 금메달 2개를 획득한 투척경기의 스타이다.
하지만 그가 출전권을 따내 베이징 대표팀에 합류하기까지의 과정은 쉽지 않았다고.
국제경기에서의 수상경력이 있어야 하는데, 비용문제 때문에 출전할 기회를 놓치기를 여러 번, 2006년에 열린 말레이시아 아·태장애인경기대회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하나씩 획득하며 대표팀 합류기회를 얻었다.
박 선수는 “여기까지 오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마지막 출전이라는 각오로 반드시 금메달을 따오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 ⓒ전진호 기자 |
▲ ⓒ전진호 기자 |
|
Copyright by 함께걸음(http://news.cowalk.or.kr)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